💡 돈을 모으는 사람들의 3가지 심리 습관

반응형

투자를 위해서는 소위 종잣돈이 필요하다.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돈을 모아야하는데, 돈을 잘 모으는 사람은 어떻게 돈을 모을까?

돈을 모으는 것도 습관이다!
돈을 모으는 사람들의 3가지 심리 습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돈을 모으는 사람

 

"왜 어떤 사람은 매달 통장을 채우고,
어떤 사람은 매달 텅장을 만드는 걸까?"

같은 수입인데도 누군가는 돈을 모으고,
누군가는 월급날만 기다리는 생활을 반복한다.
이 차이는 ‘돈 관리 능력’이 아니라,
심리적 습관의 차이일 수 있다.

✅ 1. 미래를 현재처럼 느끼는 사람들

돈을 잘 모으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미래의 나’를 아주 구체적으로 상상한다.
그리고 그 미래가 막연한 희망이 아닌, 지금 행동의 이유가 된다.

🔍 예:

  • “10년 뒤 퇴직 후 삶을 위해 매달 20만 원씩 저축”
  • “아이 교육비를 위해 지금 커피 줄이기”

🧠 심리학에서는 이것을 *‘미래지향적 자아 동일시’라고 한다.
미래의 자신을 ‘남’처럼 느끼면 저축이 어렵지만,
‘내 일기장에 적힌 구체적인 나’로 느끼면
지금의 선택이 달라진다.

* 미래지향적 자아 동일시란?
“사람들이 미래의 자신을 현재 자아처럼 느낄수록 장기적 재무 행동이 가능하다” 것.

 

🔍 출처: 

📖 Hal E. Hershfield (2011).

“Future self-continuity: how conceptions of the future self transform intertemporal choi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1(1), 17–29.
이 연구에서 Hershfield는
👉 사람들이 미래의 자신을 현재의 자아와 얼마나 가깝게 느끼느냐저축, 투자, 장기적 선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 2. 즉각적 보상을 이기는 작은 습관

“지금 커피 한 잔의 행복 VS 30년 뒤 통장의 여유”
이 둘 중에서 어떤 걸 선택하느냐가
결국 습관을 만들고, 자산을 만든다.

돈을 잘 모으는 사람들은 즉시 만족(delay discounting)을 미루는 힘이 있다.
이건 ‘의지력’이 아니라, 환경과 구조 덕분에 만들어진다.

🔧 팁:

  • 자동이체로 강제 저축
  • 지출 내역 자동 기록 앱
  • 현금 대신 체크카드 사용

즉, 돈을 잘 모으는 사람들은
자신을 믿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을 만든다.
이건 자기불신이 아니라, 자기이해다.

✅ 3. 숫자보다 ‘감정’을 먼저 본다

놀랍게도, 돈을 모으는 사람들은
돈을 감정적으로 다룬다.
단순한 계산이 아니라,
돈이 줄 때의 불안, 쓸 때의 죄책감, 모일 때의 안도감을 잘 안다.

이들은 소비욕구가 생길 때, 먼저 감정부터 들여다본다.

“지금 이걸 사고 싶은 진짜 이유는 뭘까?”
“외로움? 스트레스? 나 자신에 대한 보상?”

이렇게 묻는 순간, 무의식의 소비가 의식의 선택이 된다.
결국, 돈을 아끼는 게 아니라 감정을 이해한 결과로 절약이 생긴다.

 

🧠 마무리: 돈은 심리에서 시작된다

돈을 잘 모은다는 건
재테크 책을 많이 읽었다는 뜻이 아니다.
자기 감정을 잘 알고,
미래의 자신과 연결되어 있으며,
즉각 보상을 조절하는 환경을 만든 사람
이라는 뜻이다.

그 사람은 평소엔 소박하지만,
필요할 땐 흔들림 없이 투자하고
자신의 인생을 준비할 줄 안다.

반응형